공부/Digital marketing

디지털마케팅과 데이터 _ 1

룩잡 2024. 4. 4. 19:14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왜 그런 걸까요?

그런 중요한 데이터가 마케터에게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데이터의 중요성

데이터로부터 우리는 인사이트, 즉 본질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매 패턴, 검색 기록, 소셜 미디어 활동 등을 분석하여 고객이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요소가 고객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여 고객 행동 및 선호도를 알 수 있습니다.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채널이 가장 효율적이고 고객을 유치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지를 확인하여 마케팅 채널의 효율성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와 경쟁사 분석, 마케팅 ROI(Return On Investment_투자 수익률)을 알 수 있게 됩니다.

 

데이터는 고객에 대한 퍼즐 조각을 맞추어서 하나의 큰 그림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더 알맞은 타겍 고객에게 도달하고 또 어떠한 이유로 이탈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즉, 직감이 아닌 데이터로 성과를 측정하여 오류를 범할 가능성을 줄여주기에 마케터가 데이터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데이터의 종류와 보관 툴을, 다음 시간에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으로 나누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데이터 종류 (웹브라우저 쿠키 그리고 1, 2, 3자 데이터)

'쿠키'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임시 파일로 사용자가 탐색한 내용, 구매 내역, 아이디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사용자와 웹 서버 사이에서의 쿠키

쿠키가 처음 만들어진 이유는 유저의 방문 정보를 컴퓨터에 저장해 둠으로써 매번 웹사이트가 조회될 때 같은 요청을

수행할 필요 없이 빠르게 로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는데요. 최근에는 이런 본래 목적과 함께 광고 타겟팅의

목적으로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쿠키로 수집한 고객의 데이터는 크게 3가지로 1자, 2자, 3자 데이터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자, 2자, 3자 데이터

1자 데이터는 브랜드가 직접 수집한 고객의 데이터로, 웹사이트와 앱을 통한 결제나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수집한 개인정보입니다. 고객이 이런 정보를 제공할 때는 개인정보와 관련된 약관에 동의를 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고 정확한 데이터입니다.

단점이 있다면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인사이트를 도출할 만큼 충분한 양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2자 데이터는 다른 회사의 1자 데이터로, 회사 간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수집합니다. 

더 많은 유저에게 도달할 수 있으며 주로 특정 고객의 타게팅과 확장에 이용됩니다.

 

3자 데이터는 사용자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주체가 수집/가공한 고객 데이터로, 1자 데이터가 아닌

모든 데이터를 총칭합니다. 1자 데이터와는 달리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는 익명의 데이터입니다.

3자 데이터 제공회사는 어떤 매체에 비용을 지불하고 사이트 방문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저의 기호나 행동 패턴

같은 것들을 분석하고 가공해서 광고주들에게 팔기도 합니다.

 

기업들은 1자 데이터를 이런 3자 데이터로 강화해서 광고 타겟팅에 사용합니다.  주로 프로그래매틱 광고라고 불리는

방식에 사용이 됩니다.

 

 

 

데이터 관리 툴

이제 이 데이터들을 보관하고 관리할 장소가 필요한데요. 데이터 통합/관리 툴 CRM, DMP, CDP에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 통합/관리 툴

CRM은 회사에서 주로 고객과 구매 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합니다.

쿠키를 기반으로 수집한 3자 데이터가 없던 시절에는 1자 데이터만 보관했기에 그 용도로 사용하기 시작하게 된 툴입니다.

유명한 CRM 툴에는 Salesforce, Microsoft Dynamics 등이 있습니다.

 

DMP는 프로그래매틱 광고를 위한 툴입니다.

쿠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고 이를 이용한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발전하게 되는데요. 그런 광고 운영을

위한 2자, 3자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 생겨나게 됩니다. 여기에 저장되는 대부분은 익명 데이터입니다.

 

CDP는 마케팅과 분석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1자, 2자, 3자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고 통합해서 자사 고객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할 수 있게 해 주는데요.

마케팅 캠페인의 효율과 정확도를 높여줄 수 있는 세그멘테이션, 고객 여정 분석, 기여도 분석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머신러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고객의 행동을 예측해서 제안을 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회사들은 CRM 툴을 사용하며, 고객에 대해 더 나은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CDP를 활용하는 기업도 많아지는

중입니다. DNP는 프로그래매틱 광고처럼 유료 광고를 대량으로 집행하는 경우에 특별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채널도 다양해지고 데이터가 증가하면서 마케터들이 고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게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수동으로 여러 채널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CDP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CRM, 채널데이터, 웹데이터 등을 통합하여 이 데이터를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으로

클리닝 하고 보강하고 분석해서 통합적인 인사이트 도출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정보들을 다시 마케팅에 활용하여 계속해서 최적화를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데이터의 종류와 보관 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  )⸝⁺✧

데이터는 마케터에게 필수적인 도구로서, 지속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고객의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그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부 > Digital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분화, 개인화 그리고 자동화  (0) 2024.04.09
KPI, 성과 측정  (0) 2024.04.08
디지털마케팅과 데이터 _ 2  (0) 2024.04.05
고객여정과 퍼널  (1) 2024.04.03
디지털 마케팅이란 무엇일까?  (0) 2024.04.02